[Audacity 음성 강의] 컴프레서 사용법 강의에서 Native Instruments VC 2A와 VC 160 컴프레서 사용법을 설명하면서 소리가 압축이 되면 볼륨이 줄어들게 되는데 볼륨이 줄어드는 양을 보고 얼마나 많이 압축이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압축한 다음에 줄어든 볼륨을 키울 수 있는 슬라이더들은 볼륨 변화가 없는 위치에 두고 사용하라고 했었는데요.
어느 정도 컴프레서 사용법이 익숙해진 사용자라면 더 이상 이 지침을 지킬 필요는 없습니다. 
컴프레서로 압축을 할 때, VC 2A의 Gain 슬라이더나 VC 160의 Output 슬라이더를 이용해서 압축 후의 전체 볼륨을 적당히 키우셔도 된다는 말입니다. 
컴프레서에서 바로 볼륨을 키우면 나중에 따로 증폭이나 노멀라이즈로 볼륨을 키우지 않아도 돼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VC 2A 컴프레서와 VC 160 컴프레서의 효과적인 활용법을 실습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C 2A 컴프레서 활용 실습
1) 첨부한 컴프레서 실습 예제.wav 파일을 불러온 다음, 전체 선택합니다.
2) 효과 > 음량과 컴프레션 > 노멀라이즈 메뉴를 실행합니다.
3) 기본값 그대로 두고 적용 버튼에서 엔터키를 누릅니다.
4) 스페이스바를 눌러서 끝까지 들어봅니다.
5) Ctrl + Z키를 눌러서 노멀라이즈를 취소합니다.
6) 효과 > Native Instruments > VC 2A 메뉴를 실행합니다.
7) Gain 슬라이더 값을 45 %로 설정합니다.
8) Peak Reduction 슬라이더 값을 75 %로 설정합니다.
9) 적용 버튼까지 이동한 다음, 엔터키를 누릅니다.
10) 스페이스바를 눌러서 끝까지 들어봅니다.
들어보면 노멀라이즈한 것보다 소리가 전체적으로 더 고르고, 볼륨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C 160 컴프레서 활용 실습
1) 첨부한 컴프레서 실습 예제.wav 파일을 불러온 다음, 전체 선택합니다.
2) 효과 > 음량과 컴프레션 > 노멀라이즈 메뉴를 실행합니다.
3) 기본값 그대로 두고 적용 버튼에서 엔터키를 누릅니다.
4) 스페이스바를 눌러서 끝까지 들어봅니다.
5) Ctrl + Z키를 눌러서 노멀라이즈를 취소합니다.
6) 효과 > Native Instruments > VC 160 메뉴를 실행합니다.
7) Threshold 슬라이더 값을 74.0 mV로 설정합니다.
8) Compression 슬라이더 값을  4.0으로 설정합니다.
9) Output 슬라이더 값을 8.4 dB로 설정합니다.
10) 적용 버튼까지 이동한 다음, 엔터키를 누릅니다.
11) 스페이스바를 눌러서 끝까지 들어봅니다.
들어보면 노멀라이즈한 것보다 소리가 전체적으로 더 고르고, 볼륨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두 가지 실습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컴프레서는 압축을 통해서 피크값을 낮춰주기 때문에 피크값이 0dB를 넘지 않으면서 전체 볼륨을 더 많이 키울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줍니다. 즉, 컴프레서를 잘 활용하면 0dB를 넘지 않으면서 노멀라이즈 한 것보다 더 큰 볼륨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위의 두 가지 실습의 경우, 컴프레서를 건 티가 어느 정도는 나도록 압축이 조금 많이 되도록 설정했습니다.
위의 설정값들은 꼭 이렇개 설정해서 사용하세요는 절대 아니고, 소스에 따라서 이렇게 설정할 수도 있구나 정도로 받아들이면 들 것 같습니다.

 

컴프레서 실습 예제.wav
18.55MB

Posted by 백조자리
,